사업자등록증 각자대표와 공동대표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. 각방식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비교하는 글을 정리해보았습니다.핵심 차이점
의사 결정 방식
- 각자대표: 각자 독립적으로 결정 가능 (신속하지만 갈등 가능성↑)
- 공동대표: 전원 합의 필요 (신중하지만 속도↓)
책임 범위
- 각자대표: 개인의 행위에 대한 책임 (분명하지만 책임 소재 불분명 가능성↑)
- 공동대표: 연대책임 (분담 가능하지만 개인 책임↓)
장점 비교
구분 | 각자대표 | 공동대표 |
---|---|---|
속도 | 빠름 | 느림 |
전문성 활용 | 용이 | 어려움 |
책임 소재 명확 | 명확 | 불분명 |
견제 및 균형 | 어려움 | 용이 |
신뢰성 | 다소 낮음 | 높음 |
단점 비교 | ||
각자대표 | 공동대표 | |
--- | --- | --- |
갈등 가능성 | 높음 | 낮음 |
의사 결정 지연 | 없음 | 있음 |
책임 회피 가능성 | 있음 | 없음 |
경영 투명성 저하 | 가능성↑ | 가능성↓ |
주의: 본 정보는 일반적인 내용이며, 실제 운영 방식은 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. | ||
※ 선택 가이드: |
- 신속한 의사 결정 필요, 전문성 분담 중요: 각자대표
- 신뢰성, 책임 명확, 갈등 최소화 중요: 공동대표
생활정보모음] - 공동대표외 각자대표의 차이점과 장단점 정리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