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료급여 수급자분들, 이제 더 이상 기간 연장 문제로 고민하지 마세요!
고혈압으로 인한 의료급여 연장을 위해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를 알려드립니다.
1. 현재 상황 분석
- 진단명 충돌 문제: 이석증(H81.9) → 고혈압(I10)
- 급여 기간 제한: 급성질환 430일 vs 만성질환 무제한
- 현재 처방: 아노로엘(고혈압약) + 천식 치료제
2. 의사 협상 필수 문구
"선생님, 현재 이석증 치료는 종료되었고 주 치료는 고혈압 관리입니다.
의료급여 연장을 위해 주 진단코드를 I10으로 변경해주실 수 있나요?"
3. 법적 근거 제시
- 의료급여법 시행규칙 제15조: 만성질환자 추가 180일 연장 가능
- 보건복지부 고시: 고혈압(I10-I15) 만성질환 인정
4. 서류 작성 가이드
- 진료의사 소견서
- "본 환자의 주 치료 대상은 고혈압(I10)" 명시
- 이석증 치료 완료일 기재
- 투약 이력
- 최근 3개월간 고혈압약 처방 기록
- 혈압 측정 일지
- 주간 혈압 변화 그래프
5. 대체 솔루션
- 호흡기내과 연계: 천식(J45) + 고혈압(I10) 복합 관리
- 보건소 활용: 무료 만성질환 등록 프로그램 이용
6. 절대 피해야 할 함정
- 허위 진단 요구: 형법 제233조(위조문서행사) 적용 가능
- 과거 기록 삭제 요청: 전산 시스템에 모든 이력 남음
- 의사 불편 유발: 협조적 태도 유지
7. 최후의 수단
- 복지상담센터(129)에 진료 코드 조정 요청
- 국민권익위원회 민원 제기(www.acrc.go.kr)
✍️ 핵심 체크리스트
- 주치의와 1:1 상담 일정 잡기
- 최근 6개월 혈압 기록 준비
- 이석증 치료 종료 확인서 발급
- 보건소 만성질환 관리 프로그램 신청
이 모든 과정을 2주 안에 완료하면 의료급여 연장이 가능합니다. 건강 관리는 물론 제도적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! 💊
반응형
'생활정보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종합소득세 인적공제 요건 및 필수 서류 안내 (0) | 2025.04.18 |
---|---|
메리츠 운전자보험 혜택과 가입 방법, 꼭 알아야 할 보장 내용 (0) | 2025.04.09 |
위-식도역류병(K219) 진단 후 실비보험 가입 시 꼭 체크해야 할 5가지 (0) | 2025.03.28 |
대장내시경 실비보험 청구 핵심 가이드"검사 결과 정상이어도 보험 가능할까?" (0) | 2025.03.28 |
공황장애 vs 산업안전보건법 : 직장인이 꼭 알아야 할 10가지 (0) | 2025.03.28 |